Restart !!!
윈도우 hosts 파일 본문
윈도우 hosts 파일
hosts 파일?
hosts 파일은 주소록과 같은 것이다. 즉, 윈도우등의 os의 hosts 파일은 호스트명과 ip주소를 짝짓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례로 Yahoo! 사이트의 호스트명은 www.yahoo.com 이지만 ip주소는 204.71.200.67인데 이 둘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Yahoo! 사이트에 들어갈 수 있지만 www주소는 일차적으로 ip주소로 변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만약 우리가 직접 ip주소를 입력한다면 컴퓨터는 이를 찾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들 호스트명과 관련된 ip주소를 찾기 위해서 컴퓨터가 일련의 단계를 밟는 바, 그 첫번째가 우리의 관심사인 개개 컴퓨터의 hosts 파일이다. hosts 파일은 컴퓨터에게 해당 호스트명이 숫자로는 무엇인지를 가르쳐줘서 그 사이트를 찾게하는 역할을한다. 만일 hosts 파일내에서 ip주소가 발견되면 컴퓨터는 더이상 찾지않고 곧바로 그사이트로 가지만 그렇지 않으면 DNS컴퓨터(도메인 네임 서버)에 이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일단 호스트명과 관련 ip주소의 짝이 발견되면 이 탐색과정이 끝나는 원리를 이용해서 우리는 원치않는 사이트를 차단하는 메카니즘을 얻는 것이다.
모든 컴퓨터는 우리가 `localhost` 주소라고 부르는 자신의 주소를 갖고 있는데, 즉 127.0.0.1이다. 컴퓨터는 이 주소로 자신을 지칭한다. 그런데 만약 다른 컴퓨터의 호스트명과 자기 컴퓨터의 ip주소를 연관시켜 짝지워버리면 그 사이트로의 모든 접속시도가 자신에게로 되돌아 오게 되므로 결국 효과적인 차단방법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hosts 파일을 이용해 특정 사이트를 막는 방법이다.
(1) hosts 파일의 이점
첫째, 리소스를 적게 잡아먹는다
운영체제에 포함된 기능을 사용하므로 별도의 광고차단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그만큼의 메모리나 cpu를 다른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http 이외의 접속에서도 작동한다
대부분의 광고차단 프로그램은 컴퓨터상의 http (혹은 웹) 포트로 가는 ip 호출만 차단하므로 여타 전송들 (transfers)은 통과한다. 하지만 hosts 파일은 http, ftp는 물론 그외 어떤 포트 (port)로의 ip 호출도 모두 차단한다.
셋째, 수많은 추적 및 보안관련 우려를 종식시킨다
hosts 파일은 광고와 추적 관련 회사들로 하여금 우리가 그들이 이용하는 웹페이지를 본다는 사실을 감지조차 못하게 막을 수 있는데, 이는 ip 호출이 우리의 컴퓨터를 미처 떠나기도 전에 가로 막음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이로써 그들이 우리를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막고 우리의 보안유지를 돕는다. 127.0.0.1 주소와 함께 입력된 모든 사이트는 영원히 접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hosts 파일에 등재되지 않은 사이트는 여전히 우리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고도 보낸다.
넷째, hosts 파일은 우리 자신이 설정가능하다
hosts 파일은 내가 차단할 사이트 목록을 남이 결정해 주는 게 아니라 내 스스로 편집할 수 있다.
다섯째, 브라우저의 속도 향상이다
방문코자 하는 사이트의 정확한 주소를 hosts 파일에 넣어 줌으로써 우리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문의하는 일을 덜 수 있는데, 이는 번호부를 조회하지 않고 그 사이트로 곧바로 찾아 감으로써 서핑 속도를 상당히 향상시킨다. 또한 hosts 파일을 이용한 차단기술로 광고의 로딩을 막아 웹페이지를 훨씬 더 신속하게 볼 수 있는데, 이런 광고가 대개 화려한 그래픽으로 구성된 연유에서다. (해당 호스트에 대하여 ip주소를 확인을 하지 않고 접속을 바로 할 수 있다.)
(2) hosts 파일의 한계점
첫째, 와일드 카드를 쓸 수 없다
즉, *.advertisement.com과 같은 호스트명을 넣을 수 없다.
둘째, 우리가 현재 보고 있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광고는 차단하지 못한다
host 파일이 사이트 전체를 차단하지 한 사이트의 subdirectory 나 pathname만 막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subdirectory를 못막기 때문에 www.netscape.com/ads/는 막지 못한다. 다만 www.netscape.com로써 전체 서버를 막아야 하며 그렇게 되면 Netscape사이트에 접속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현재 보는 사이트의 광고를 차단하려면 다른 광고차단 프로그램을 써야 할 것이다.
셋째, 어떤 사이트에는 이상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만약 잘못하여 엉뚱한 사이트를 hosts 파일에 포함시키면 틀림없이 더이상 그 사이트를 정상적으로 볼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hosts 파일 리스트에서 해당 사이트를 제외시키면 고쳐질 것이다. 그리고 특정 서버에 종속된 사이트의 경우, 그 서버를 리스트에 포함시키면 그에 종속된 사이트들도 함께 보지 못하게 됨을 유념해야한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일괄 변경 (phpmyadmin) (0) | 2014.06.06 |
---|---|
Vmware에 64비트 설치안될때 (0) | 2014.01.20 |
Ap모드 사용 (0) | 2013.12.01 |
윈도우7 설치시 관리자 계정 설정 (0) | 2013.11.08 |
hosts 파일 변경 (0) | 2013.10.20 |